본문 바로가기

배우는 과정/CAE공부10

[Hypermesh] 3D Mesh 상태에서 Split 하는 방법 (negative or zero determinant 오류) [서론] Lsdyna나 다른 Solver 프로그램을 돌릴때 negative or zero determinant 같은 오류가 뜰수 있다. 꼭 아래와 같은 원인이 아닐 수 있지만, 하기처럼 3D Mesh 후 Tetra가 아닌 다른 형상으로 특정 부품이 남아있을 경우 Solver가 해석을 하지 못하고 오류가 나게 된다. 특이 이런 에러의 경우 에러이름만 보고 원인을 찾기가 쉽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를 항상 유의하고 Mesh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해결 방법]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번째는 해당 부품만 처음부터 다시 하는 방법으로 해당 Surface를 다시 가져와서 2D Mesh 진행후 Split 해주는 방법이다. 2D Mesh를 해준 후, 2D- Split 기능을 이용해서 하기와 같이 divide q.. 2023. 6. 14.
[Hypermesh] 3D Mesh를 2D Mesh로 다시 전환하는 방법 오늘은 다음과 같은 원기둥 형태 팸넛의 3D Mesh가 있다고 했을때, 3D Mesh의 품질이 좋지 않거나 내부 Element가 너무 꼬여서 2D를 다시 수정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보통 2D Mesh를 상당부분 어렵게 수정하였는데 이미 3D Mesh를 생성하였고 2D Mesh를 지워버렸지만 결과가 좋지 않을때 상용하는 방법이다. 먼저 Tool - Faces를 들어가준다. 요소가 Comp로 되어있다면 Elems로 바꾸어주어 Mesh를 지정할 수 있게 한다. 이후 모든 Elements를 지정해주어 Find faces를 눌러준다. (Find Faces를 누르기전에 모든 Elements를 지정해 주기 위해 아래와 같이 Displayed를 클릭해주어 화면에 있는 모든 Elements를 지정해 준다.. 2023. 4. 14.
[HyperGraph] 해석된 값을 그래프로 분석하기 [서론] [Hyperview] Contour로 해석 파일 분석하기 [서론] 오늘은 hypermesh로 전처리를 완료하고 Solver로 solving후에 그것을 분석하는 방법을 공부해보려고 한다. hyperview란 이렇게 해석을 완료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여러 방면에서 분석할 수 있도 whdrktwlqgotqks.tistory.com 상기 링크에 있는 해석 파일 분석에 이어서 HyperView로 분석을 하다가 그래프로된 정량적인 데이터를 보고 싶을 수 있다. 그럴땐 HyperGraph를 사용하면 된다. [해석된 파일을 그래프로 분석하는 방법] 먼저 HyperGraph를 열기전에 윈도우 창을 하나 더 만들거나 기존창을 2개로 분할해야 한다. 윈도우창 제어버튼(1번)을 조작하면 패널을 분할할 수 있다.(2번.. 2023. 1. 27.
[Hyperview] Contour로 해석 파일 분석하기 [서론] 오늘은 hypermesh로 전처리를 완료하고 Solver로 solving후에 그것을 분석하는 방법을 공부해보려고 한다. hyperview란 이렇게 해석을 완료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여러 방면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툴이다. [Contour를 이용하자] Contour란 해석을 진행할때 무지개색과 같은 빨주노초파남보로 응력이나 변위량 같은 차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얼마나 심한지, 덜한지에 따라 색깔이 나뉘며 등고선이나 기상선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먼저 Hyperview를 실행시키고 Solver로 해석한 파일을 위의 빨간버튼을 눌러서 찾아준다. 그리고 Apply를 누르면 해석한 모델이 화면에 나온다. 그후에 Contour를 해주기 위해 다음의 과정을 진행한다. 1. 윗그림에 나오.. 2023.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