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지식32

미국의 채권 금리가 높아지면 우리나라에는 어떤영향을 끼칠까? 채권의 모든 것 채권을 알기 쉽게 이해해보자채권이란 국가에서 국민에게 돈을빌리면서 주는 어음 즉, 내가 돈을 빌려줬다는 증표를 주는 것이다. 또한 이 채권은 '이자'라는 보너스가 포함되어서 국가에 돈을 빌려준 시민은 정해진 이율에 따라 만기가 되었을때 일정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이런 이자율을 '채권 금리' 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런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우리는 채권에 이야기를 들을때마다 채권 금리와 더불어 채권 가격이라는 단어도 쉽게 들을 수 있다. 여기서 채권 가격이란 말그대로 채권의 가격이다. 또한 여기서 가격이란 우리가 현장에 채권을 살 수 있는 실질 가격을 뜻하는데 실질 구매 가격을 쉽게 예를 들어보자.우리가 아이폰을 사려고하는데 쿠팡에서 아이폰 구매고객 한정 특별 무료쿠폰 5만.. 2024. 11. 7.
한쪽이 경제권을 쥐지 않고 신혼부부가 돈관리를 하는 방법 (월급 및 가계부 관리 엑셀) [서론] 요즘의 2030 신혼부부들은 사회로부터 흔히 MZ부부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기존 세대 부부들의 특성과 다른점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불과 10년전인 우리 삼촌세대 이전에는 대부분의 가정이 외벌이로 사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도 완전 좋아졌다곤 할 수 없지만, 그 당시엔 여성의 출산 후 근로 안정성이 지금보다 비교적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때는 가장인 아버지가 대부분 돈을 벌어오고 그 월급을 어머니가 모두 이관받아 살림을 꾸렸다. 하지만 요즘의 MZ라고 불리는 부부들은 그때와는 사뭇 다르다. 대부분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이들에게 과거와 같이 한쪽이 경제권을 쥐고 운영하는 방식을 적용했을때 마찰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졌다. 과거에 가정을 꾸린 대부분의 성실한 가장들은, 본인의 니즈나 욕구는 차순.. 2023. 5. 13.
주택구입부담지수로 집값의 흐름을 파악하기 [서론] 작년부터 집값이 천천히 안정되가고 있다. 하지만 언제까지 가격이 영원히 떨어질순 없을 것이다. 모든 자산은 언젠가 다시 오르고 내리므로, 집을 매매할 좋은 타이밍을 잡는것은 누구라도 원하는 상황이다. 또한 이런 안정화에 끝을 알아채기 위해선 집값의 흐름을 아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많은 방법이 있는데 몇 가지를 뽑아보자면, 많은 사람 대부분이 들어본 전세가율이나 미분양 물량수, 통화량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나는 GDP 대비 집값에 대한 데이터를 많이 참고하는 편인데, 주택금융공사에서 이런 종류의 데이터를 '주택구입부담지수'라는 단일 지수를 만들어서 국민들에게 공개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늘은 이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주택구입부담지수를 보는 방법] 먼저 인터넷 검색창.. 2023. 4. 16.
국민주택분양, 공공분양 청약의 모든 것 (Feat. 분양 전략, 납입인정액 계산 파일 다운) [서론] 매스컴에서 청약에 대한 내용을 다룰 때, 대부분 민영주택 청약에 관련된 내용만 다루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청약 가점을 통해 분양을 받는 방식의 청약 또한 민영주택 청약에 속한다. 특히 2019년 ~2021년쯤에 로또 청약이라는 말이 유행하곤 했었다. 민영주택 청약 점수의 총점은 64점이고, 무주택 기간과 청약 가입기간, 그리고 부양가족 수에 대해서 가산점을 부여하고 총점으로 경쟁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가점으로 당첨자를 가르지 않고도, 정부는 특정 비율의 분양물량에 대해 '추점제'라는 방식을 도입했다. 추첨제는 기본적인 조건만 갖추면, 랜덤으로 당첨자를 추첨하는 방식이다. (민영주택 청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링크) [알게모르게 진.. 2023.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