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는 과정/코딩공부10

vim 명령어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 :q! 2025. 5. 26.
하드코딩을 피하고 재사용성이 좋은 코딩을 하기 위한 명저 추천 1. "클린 코드: 애자일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 (Clean Code: A Handbook of Agile Software Craftsmanship) - Robert C. Martin핵심 내용: 이 책은 하드 코딩을 피하고 가독성, 유지보수성, 확장성이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원칙들을 제시합니다. 코드의 깨끗함을 유지하는 방법과, 직관적이며 관리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추천 이유: 하드 코딩을 줄이고, 표준화된 패턴을 적용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코드 품질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관리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둡니다.2. "디자인 패턴: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Design Patterns: Elements of Reusable Objec.. 2025. 2. 15.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Root 볼륨과 데이터 볼륨의 차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루트 볼륨"과 "데이터 볼륨"은 각각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볼륨(디스크 파티션)입니다. 이 두 가지는 저장소 관리와 관련된 개념으로, 각각 시스템과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1. 루트 볼륨 (Root Volume)정의: 루트 볼륨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볼륨으로, 시스템 파일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루트 파일 시스템 /에 해당하는 볼륨을 의미합니다.위치: / 디렉토리에 모든 중요한 시스템 파일과 디렉토리가 저장됩니다. 예를 들어, /bin, /etc, /usr, /var 등이 모두 루트 파일 시스템 내에 위치합니다.목적: 운영 체제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이 루트 볼륨에 저장됩니다. 리눅스 시스템이 부팅될 때 루트 볼륨에서 중요한 시.. 2025. 2. 15.
MAC과 IP주소 차이 MAC : 기기 제조사가 기기의 LAN포트에 고유하게 부여하는 16진수 문자임. 이론상 세계적으로 유니크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MAC이 많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동일 네트워크에서만 MAC을 통해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트크워크 매체를 사용한다. 글로벌 IP : 글로벌로 유니크한 IP이다. 동일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으로 나가려면 IP 주소를 통해 식별해야 한다. 이때 라우터가 방향을 잡아준다. 프라이빗 IP : 주로 192.168.xx, 10.xx 등이고 내부 네크워크에서 쓰이는 IP이다. 내부 와이파이를 통한 프린터나 휴대폰 등에게 부여하는 IP이다. 외부망에서는 이 IP를 통해 접근할 수 없다.   특수 IP : 0.0.0.0이 대표.. 2025.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