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파이썬 내장 문법6

파이썬 원시 문자열로 패턴 감지 사용법 파이썬에서는 원시 문자열을 이용해서 패턴을 만들고 그것을 감지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일단 일반적인 텍스트 'text'에서 r을 붙여서 r'text'로 바꿔주면 기본적으로 색깔이 바뀌며 원시 문자열로 변경 된다.  다음과 같이 사용할수 있다. 원시문자열을 다룰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 '['나 '.'은 각각 원시문자열에서 특수한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것을 텍스트 자체로 사용하고 싶을땐 앞에 \를 붙여주어 텍스트화 시켜줘야 한다. - 또한 특정 부분만 변수화 하여 사용하거나 '아무거나 와도 된다' 식으로 해줄수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나 .+를 사용하면 아무 문자나 와도 된다는 의미이고, +은 ''같이 빈 문자열을 인정하지 않고 *는 인정한다.  - '.'은 해당 문자가 뒤에도 지속될 수 있다는 .. 2024. 8. 26.
Class의 인스턴스를 함수처럼 사용하기 딥러닝을 공부하다 보면 종종 분명 클래스로 정의한 인스턴스인데 메서드가 아닌 함수처럼 사용되는 인스턴스를 볼 수 있다.# ToTensor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to_tensor = transforms.ToTensor()# 인스턴스를 함수처럼 호출하여 이미지(img)를 텐서로 변환img_t = to_tensor(img)# img_t의 형태 출력print(img_t.shape)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인스턴스뒤에 함수처럼 ()안에 무엇을 넣으면 원하는 것이 리턴된다. 이는 인스턴스를 만드는 클래스에서 __call__이라는 메서드를 정의하면 되는데,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단순 __init__이나 다른 메서드처럼 내부에 또다른 self인스턴스르 정의하고 세션을 유지하며 다른 메서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2024. 7. 6.
if __name__ == "__main__": Python에서 자주 사용되는 조건문, 주로 해당 스크립트가 직접 실행될 때와 모듈로 임포트될 때의 동작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def main(): print("This is the main function.")if __name__ == "__main__": main()동작 원리__name__은 Python에서 특별한 내장 변수로, 현재 모듈의 이름을 문자열로 저장만약 스크립트가 직접 실행되면, __name__ 변수는 "__main__"으로 설정반면, 스크립트가 다른 모듈에서 임포트될 경우, __name__ 변수는 해당 모듈의 이름으로 설정쓰임새직접 실행 시 특정 코드 실행: 스크립트가 직접 실행될 때만 특정 코드를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모듈로서의 재사용성: 다른 스크립트에서 임포트할 때는 .. 2024. 6. 28.
파이썬 직접 의존성과 간접 의존성 https://sjquant.tistory.com/72 2024.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