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클린 코드: 애자일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 (Clean Code: A Handbook of Agile Software Craftsmanship) - Robert C. Martin
- 핵심 내용: 이 책은 하드 코딩을 피하고 가독성, 유지보수성, 확장성이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원칙들을 제시합니다. 코드의 깨끗함을 유지하는 방법과, 직관적이며 관리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 추천 이유: 하드 코딩을 줄이고, 표준화된 패턴을 적용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코드 품질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관리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디자인 패턴: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Design Patterns: Elements of Reusable Object-Oriented Software) - Erich Gamma, Richard Helm, Ralph Johnson, John Vlissides
- 핵심 내용: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겪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디자인 패턴들을 소개합니다. 각 패턴은 재사용 가능하고, 유연한 코드 구조를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반복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 추천 이유: 이 책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반복되는 문제를 자동화된 해결책으로 바꾸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하드 코딩을 피하고, 유연한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3. "리팩토링: 코드 구조 개선의 기술" (Refactoring: Improving the Design of Existing Code) - Martin Fowler
- 핵심 내용: 기존 코드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리팩토링 기법을 다룹니다. 리팩토링은 불필요한 코드 중복을 제거하고, 더 나은 구조로 코드를 개선하는 기술입니다. 코드의 가독성, 확장성,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필요한 방법들이 설명됩니다.
- 추천 이유: 하드 코딩된 부분을 리팩토링하여 더 효율적이고 읽기 쉬운 코드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기에 좋습니다.
4. "클린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 원칙" (Clean Architecture: A Craftsman's Guide to Software Structure and Design) - Robert C. Martin
- 핵심 내용: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유지보수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변화하는 요구 사항에 맞게 설계를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추천 이유: 하드 코딩된 비즈니스 로직을 잘 분리하여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5. "테스트 주도 개발: TDD로 실전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Test-Driven Development: By Example) - Kent Beck
- 핵심 내용: 이 책은 **테스트 주도 개발(TDD)**을 통해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TDD는 먼저 테스트를 작성한 후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인 코드를 작성하고 버그를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추천 이유: 테스트 코드 작성이 하드 코딩을 방지하고, 코드의 품질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TDD를 통해 코드가 변화할 때마다 자동으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
6.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The Pragmatic Programmer) - Andrew Hunt, David Thomas
- 핵심 내용: 이 책은 유연하고 견고한 코딩을 위한 다양한 원칙과 실용적인 조언을 다룹니다. 하드 코딩을 피하고, 재사용 가능한 코드와 자동화된 개발 과정을 만들어 가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추천 이유: 지속 가능한 코드와 최적화된 개발 방법을 찾고 싶은 개발자에게 유용합니다.
7.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술" (The Art of Software Development) - Steve McConnell
- 핵심 내용: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기술적 문제 해결을 다루고, 성공적인 개발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개발의 여러 측면에서 효율성과 품질을 높이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설명합니다.
- 추천 이유: 코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실천을 제시하며, 시스템을 더 스마트하게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배우는 과정 > 코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Root 볼륨과 데이터 볼륨의 차이 (0) | 2025.02.15 |
---|---|
MAC과 IP주소 차이 (0) | 2025.01.13 |
API란 무엇일까? localhost? (0) | 2024.11.19 |
데이터 엔지니어(DE)가 배우면 좋은 것들 (0) | 2024.11.13 |
데이터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DB)의 종류 (1) | 2024.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