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 IAM IAM이란?: (Identity and Access Menagement)의 약자로 IAM에서는 사용자를 생성하고 그룹에 배치하기 때문에 글로벌 서비스에 해당된다.: 기본적으로 Root 계정으로 만들어지고 이것은 이후 사용되거나 공유되어서는 안된다.: 그 대신에 유저를 생성하고 사용해야 한다. IAM에서 유저를 생성할때 하나의 사용자는 조직 내의 한 사람에 해당이 된다. 필요하다면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한마디로 유저계정이란 root계정의 일부에서 전체까지의 권한을 가진 짝퉁 계정? 느낌임: 하지만 기본적으로 하나의 root 계정의 세션을 모두 공유하고 접근권한만 제한된 계정이다.: 만약 6명이 있는데 각각 개발자 그룹에 2명, 운영 그룹에 2명을 넣으면 이제 IAM에 2개의 그룹이 있는것임.. 2025. 2. 9.
AWS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웹사이트의 원리: 호스트된 서버 - 클라이언트간 서버로 엑세스해서 웹사이트를 시각화하는 것: 그래서 클라이언트에서는 서버-클라이언트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를 사용함: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찾아내서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해 서버로 네트워크를 사용해 데이터를 보냄: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응답하고 응답을 얻으면 웹사이트를 볼 수 있는 것임: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찾고 클라이언트가 서버를 찾으려면 각각 IP주소가 필요함: 클라이언트는 서버 IP를 사용해 서버를 원하는 서버로 요청을 보낼 수 있고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찾는 방법을 알아냄: 네트워크가 클라이언트로부터 IP와 데이터등의 요청을 받으면 네트워크는 라우팅을해서 방향을 설정하고 쏜다: 응답인 반대방향도 마찬가지 서버는 컴퓨팅(CPU), 메모리, 스토리지 측면이 .. 2025. 2. 8.
docker compose 스크립트를 실시간 시각화 시키는 방법 http://github.com/pmsipilot/docker-compose-viz GitHub - pmsipilot/docker-compose-viz: Docker compose graph visualizationDocker compose graph visualization. Contribute to pmsipilot/docker-compose-viz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도구를 사용하면 된다. 2025. 1. 27.
MAC과 IP주소 차이 MAC : 기기 제조사가 기기의 LAN포트에 고유하게 부여하는 16진수 문자임. 이론상 세계적으로 유니크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MAC이 많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동일 네트워크에서만 MAC을 통해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트크워크 매체를 사용한다. 글로벌 IP : 글로벌로 유니크한 IP이다. 동일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으로 나가려면 IP 주소를 통해 식별해야 한다. 이때 라우터가 방향을 잡아준다. 프라이빗 IP : 주로 192.168.xx, 10.xx 등이고 내부 네크워크에서 쓰이는 IP이다. 내부 와이파이를 통한 프린터나 휴대폰 등에게 부여하는 IP이다. 외부망에서는 이 IP를 통해 접근할 수 없다.   특수 IP : 0.0.0.0이 대표.. 2025. 1. 13.
Docker에서 Dockerfile, Docker image, 그리고 각종 도커 API 사용법 Docker image란?- Docker image는 특정 시점의 도커 컨테이너(환경)의 상태를 담은 스냅샷과 같다.- 이미지를 build 한다는 말을 사용한다. 환경 자체를 서면으로써 하나의 청사진(이미지)로 만드는 과정을 뜻하는 단어임 Dockerfile이란?- 이미지Build시 진행되는 명령어의 꾸러미들따라서 Docker image는 여러개의 레이어(dockerfile의 명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지어 build시 나오는 digest(암호) 개수가 레이어 수를 뜻하고 이미지를 만드는 명령의 숫자와 같다.이 dockerfile을 build해서 하나의 이미지(컨테이너 환경 스냅샷)를 만든다.따라서 라이브러리 꾸러미인 'requirement.txt'를 설치하고, 특정 버전의 python을 설치하는 명령.. 2024. 12. 31.
파이썬의 메모리 사용 또는 포인터개념의 고찰 파이썬에서 모든 객체는 다음과 같이 변경 가능개체(mutable)과 변경 불가능한 객체(immutable)로 나뉨변경 불가능한 객체 (Immutable Objects):예: int, float, str, tuple이러한 객체는 값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가 생성예를 들어:a = 10b = a  # b는 a의 값을 복사b = 20  # b를 변경해도 a는 변경되지 않음print(a)  # 10print(b)  # 20변경 가능한 객체 (Mutable Objects):예: list, dict, set이러한 객체는 값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참조가 전달예를 들어:list_a = [1, 2, 3]list_b = list_a  # list_b는 list.. 2024.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