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AC : 기기 제조사가 기기의 LAN포트에 고유하게 부여하는 16진수 문자임. 이론상 세계적으로 유니크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MAC이 많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동일 네트워크에서만 MAC을 통해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트크워크 매체를 사용한다.
글로벌 IP : 글로벌로 유니크한 IP이다. 동일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으로 나가려면 IP 주소를 통해 식별해야 한다. 이때 라우터가 방향을 잡아준다.
프라이빗 IP : 주로 192.168.xx, 10.xx 등이고 내부 네크워크에서 쓰이는 IP이다. 내부 와이파이를 통한 프린터나 휴대폰 등에게 부여하는 IP이다. 외부망에서는 이 IP를 통해 접근할 수 없다.
특수 IP : 0.0.0.0이 대표적인데, 글로벌 IP든 내부 IP든 0.0.0.0은 못쓰는듯 하다. 외부의 모든 네트워크에서 접근가능한 IP로 어떠한 제한이 없다.
반응형
'배우는 과정 > 코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코딩을 피하고 재사용성이 좋은 코딩을 하기 위한 명저 추천 (0) | 2025.02.15 |
---|---|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Root 볼륨과 데이터 볼륨의 차이 (0) | 2025.02.15 |
API란 무엇일까? localhost? (0) | 2024.11.19 |
데이터 엔지니어(DE)가 배우면 좋은 것들 (0) | 2024.11.13 |
데이터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DB)의 종류 (1) | 2024.11.11 |
댓글